1차 멘토링
라면 콘텐츠의 기획력과 타깃 전략 평가
- 라면 마니아층을 공략한 디테일한 콘텐츠 기획
라면이라는 일상적 아이템을 중심으로 리뷰 및 영수증 인증 등 마니아층을 타깃으로 한 세부 요소들을 잘 담아낸 점이 돋보임
브랜드별 맛/식감 차이, 장소 특화 정보, 인증 콘텐츠 등 디테일이 살아 있었고, 이는 특정 사용자층에게 강한 몰입과 충성도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전략으로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
- 타깃 세분화로 인한 명확한 차별성 확보
대중적인 음식인 라면을 다루면서도 전국 라면 전문점 정보, 인증 기반 리뷰, 소비자 경험 기반 추천 콘텐츠 등으로 특화시켜, 공략대상을 좁히면서도 깊이를 확보한 점이 차별화 전략으로 효과적.
AI 기능 확대에 대한 조언
- 라면 추천 AI 서비스 제안
사용자의 취향(매운맛 선호, 국물/볶음 선호, 지역 선호도 등), 과거 리뷰, 현재 기분, 날씨 정보 등을 활용한 AI 기반 라면 추천 기능은 프로젝트의 확장성과 실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음.
특히, 단일 추천이 아닌 복수 추천안 제공을 통해 사용자 선택권을 강화하고, 추천 사유까지 설명해주는 "이유 기반 추천 시스템"을 고려하면 서비스의 설득력도 향상.
- 다양한 데이터 기반 추천 구조 제안
리뷰 평점, 방문 빈도, 인증 내역, 라면 카테고리별 인기 지수 등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추천 결과의 신뢰도와 개인화 수준을 높이는 방향으로 기능을 확장해보길 권장.
프로젝트 관리 및 표준화 관점 평가
- WBS를 통한 정량적 진척 관리가 돋보임
WBS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일정을 분해하고, 각 작업 항목별 상태를 시각화하여 관리한 점은 매우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 방식
단순히 일정을 나누는 것을 넘어서, 진척률 및 잔여작업 파악을 통해 정량적으로 프로젝트 상황을 인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무 감각이 느껴짐
표준화된 개발환경 운영에 대한 강조와 실천
- 프로젝트를 표준화된 환경에서 진행하려는 의지가 강하게 반영되었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실무 가이드 문서를 공유함 --> 매우 긍정적입니다.
이는 프로젝트 품질뿐 아니라, 향후 유지보수 및 협업 효율성에서도 큰 장점이 될 것.
총평 및 향후 발전 방향
이번 프로젝트는 기획의 창의성, 타깃 집중 전략, 그리고 기술 확장 가능성 모두에서 훌륭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특히 라면이라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리뷰, 인증, 추천 등 소비자 참여 기반의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발전 가능성이 충분합니다.
향후에는 AI 기반 추천 엔진을 고도화하고, 사용자 경험(UX)을 감성적 요소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차별화된 서비스 모델을 정립해보길 권장합니다.
또한 팀워크 측면에서는 의견 다양성과 수평적 구조가 팀의 창의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임을 기억하고, 모두가 주체가 되는 협업 문화를 계속 발전시켜 나가길 바랍니다.
추가 자료
융복합서비스 표준 가이드_V1.0.pptx
융복합서비스 API표준 가이드_V1.0 (1).pptx
융복합서비스 API표준 가이드_V1.0.pptx
융복합서비스_CICD_구성도_V1.0.pptx
융복합서비스_시스템_구성도_V1.0.pptx
171208_Jeju_Digital Platform_CEO 최종보고_Final_vF.pdf